오늘은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인 떡에 대하여 포스팅할까 합니다.
먹기만 했던 떡이 무슨 떡인지, 어떻게 만드는지 그 방법에 대해 이번 기회에 한 번 알아보세요.
찌는 떡
백설기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약간의 간만 맞춘 새하얀 떡입니다.
기호에 따라 검은콩이나 건포도등을 넣기도 하며 특히 백일잔치나 첫돌 잔치때 많이 쓰입니다.
고명을 제대로 넣지않고 흩터지게 넣은 마구설기도 여기에 속합니다.
백편
멥쌀가루에 간을 조금 한 뒤 꿀이나 설탕을 섞어 켜켜이 쌓아 올려 대추나 밤, 석이버서, 잣, 파래 등의 고명을 얹은 떡입니다.
요즘에는 고명뿐만 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백편 자체에 각종 줄과 색, 그리고 향을 표현할려고 백편가루나 꿀, 승검초가루를 사용하는 각색편으로 더 널리 알려져있습니다.
시루떡
각종 제사와 잔치, 행사에 빠지지 않는 필수적인 떡으로 쌀가루에 콩이나 팥등을 섞어 시루에 찐 떡입니다.
섞는 재료는 참 다양한데 보편적으로 콩이나 팥, 대추, 호박고지, 무채, 곶감등이 자주 쓰입니다.
가장 흔한 떡중에 하나이며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쇠머리떡
찹쌀가루에 밤과 대추, 팥 등을 섞고 버무려 찐 떡으로 굳혀 썰었을 때 쇠머리 편육처럼 생겼다하여 이름붙여진 떡입니다.
온갖 재료를 넣어 만들어져서 모듬백이, 모듬찰떡이라고도 불리며 넣는 재료는 가을 수확기에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로 만듭니다.
찰떡 가운데 가장 맛있는 떡으로 실제로 이 떡을 싫어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습니다.
구름떡
찹쌀가루에 밤이나 대추, 콩 등의 견과류 등을 넣어 쪄내 팥 앙금이나 흑임자 가루를 묻혀 불규칙한 층이 생기게 한 떡입니다.
식힌 떡을 썰면 잘린 단면이 구름의 모양과 비슷하여 구름떡이라 이름붙여졌으며 손이 많이 가는대신 맛과 영양이 풍부합니다.
깨끼떡
만드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백편과 비슷합니다. 들어가는 재료와 고명도 비슷하고요.
다만 차이점은 백편은 맵쌀가루로 만드는데 반해, 깨끼떡은 찹쌀가루도 만들어 쫄깃쫄깃하고 손과 입에 달라붙는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주재료가 깨로 만들고 깨가 껴있다고 해서 깨끼떡으로 불리며 찰편으로도 많이 불리고 있습니다.
흑임자로 만든 흑임자 찰편, 콩을 넣은 콩찰편, 땅콩이나 호두를 넣은 찰편등 여러가지 고물로 만들어 각양각색의 맛과 영양을 즐길 수 있습니다.
치는 떡
인절미
불린 찹쌀을 쪄서 절구에 넣고 떡메로 쳐서 모양을 만든 뒤에 각종 고물을 묻힌 떡입니다.
가장 흔한 떡 종류중에 하나이며 콩이나 흑임자가루, 쑥, 밤, 호박등을 넣기도 합니다.
고서와 기록에는 가장 오래된 떡중에 하나라고 하네요.
개피떡
예로부터 주로 봄철에 먹었던 떡으로 반달 모양으로 만들어서 녹두소나 팥소를 넣어서 만든 떡입니다. 소를 넣어고 접을 때 공기가 들어가게해서 모양이 불룩하도록 만들어서 주로 바람떡이라는 명칭으로 더 유명한 떡입니다.
요즘에는 결혼식 피로연이나 회갑잔치에 흔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절편
둥글거나 모나게 떡살로 눌러서 무늬등을 넣어 만든 떡으로 따로 고물을 뭍히지 않고 경우에 따라 쑥을 넣기도 합니다. 쑥을 넣은 절편을 수리취떡이라 하며 얇고 넓적하게 만드는 기구인 떡살에 각종 무늬를 새겨 떡 자체에 각종 무늬를 넣었습니다.
찹쌀떡
찹쌀로 만들어 그 안에 팥소를 넣고 겉에 콩가루나 카스텔라 가루등을 입힌 떡으로 어르신들은 보통 모찌라는 일본용어로 알고 계신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일본의 다이후쿠모찌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많고 시험을 앞둔 수능생들의 선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부편
경상도 지방에서 유래된 부편은 찹쌀가루로 반죽하여 볶은 콩가루와 꿀, 계피가루를 섞어 소를 넣고 둥근 모양으로 만든 떡입니다.
과거 혼례 행사때 자주 쓰였으며 녹두팥고물로 하면 맛과 색이 더욱 좋아집니다.
가래떡
[Copyright ⓒ 백점의 무궁무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